문제
번호
내용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제한사항
- 입력 :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 출력 :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입출력 예
입력 : 216
출력 : 198
+ 추가 테스트 케이스
입력 | 출력 |
1 | 0 |
196 | 179 |
1000000 | 0 |
언어
JAVA
풀이
문제 분류인 brute force에 딱 맞는 문제이다.
다만, 그 과정을 찾기 위해서 수학적인 계산이 약간 필요한 문제였다.
우선 3자리 자연수 $N$을 보면 $N = abc + a + b + c$을 만족하는 자연수 $abc$를 찾아야 한다.
이 때 $abc$는 곱이 아닌 3자리의 수를 표현한 것이다.
그런데 $a, b, c$는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를 $n$자리 수에 대해서 일반화 시키면 다음과 같이 된다.
따라서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한 생성자 $x$는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시켜야 한다.
(단, n은 자연수 N의 자리 수)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anner.nextInt();
scanner.close();
for(int i = 1 ; i < num ; i++) {
// 생성자 계산
int sum = i;
for(int k = 1 ; k <= (int)Math.log10(i)+1 ; k++) {
int pow = (int)Math.pow(10, k-1);
sum += (int)Math.floor((i%(pow*10)) / pow);
}
// 생성자가 있는 경우
if(sum == num) {
System.out.println(i);
return;
}
}
// 생성자가 없는 경우
System.out.println(0);
}
}
'Etc >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0448번] 유레카 이론 (0) | 2021.09.03 |
---|---|
[프로그래머스 42860번] 조이스틱 + 테스트 케이스 (10) | 2021.02.23 |
[프로그래머스 42862번] 체육복 (0) | 2021.02.21 |
[프로그래머스 42842번] 카펫 (0) | 2021.02.21 |
[프로그래머스 42839번] 소수찾기 (0) | 2021.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