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Computer and Our Life

by Gofo 2021. 3. 18.

우리의 삶에서의 변화

컴퓨터로 인한 정보혁명과 소프트웨어융합 등은 우리의 삶에 여러 변화를 일으켰다.

 

Infrastructure

새로운 발명이 나와서 지금까지도 사용되는 인프라가 되었다.

  • 많은 "big" computer가 만들어짐
    • 1950~1970
    • IT gold rush in USA
  • Minicomputers, Personal computers
    • 1970년대
    • Silicon Valley
  • Internet, Web, Electronic commerce(전자상거래)
    • 1990년대
  • 스마트폰(mobile commerce)
    • 2000년대 초반

 

정보혁명(3차 산업혁명)

  • 정보의 유통
  • Electronic commerce(전자 상거래)
    • 상품과 서비스의 유통에 변화를 일으켰다.
    • 근거리만 진행하던 거래를 전국, 전세계로 넓혔다.
  • Automation(자동화)
    • 직업군의 변화를 일으켰다.
    • 자동화로 인해 기존의 직업군이 없어지고 새로운 직업군이 생겼다.

 


컴퓨터로 인한 우리 삶의 변화에 대한 여러 분석

SW가 세상을 삼킨다.

Marc Andressen - "Why Software Is Eating The World", The Wall street Journal

 

점점 더 많은 기업이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돌아가고 고객에게 온라인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실리콘벨리 스타일의 기술회사는 분야별로 기존의 전통 기업으로부터 사회 주도권을 빼앗아 갔다. 현재 기업 성장 순위를 보면 상위권은 다 아마존, 애플, 테슬라 등 IT 관련 기업이 차지하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소프트웨어는 세상을 삼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이 지금 일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소프트웨어로 글로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기술이 완성되었기 때문이다. 컴퓨터의 60여년간의 발전, 20년동안 이루어진 컴퓨터의 발전, 5년동안 일어난 스마트폰의 발전 등이 그것이다.

이 때문에 digitally-wired online global economy에서 상업대상(고객)은 근거리에 있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수십억명의 잠재 고객으로 바뀌었다.

 

상업 또한 변화하였다.

아마존은 Cloud computing을 통해서 상업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데이터 사업을 위해 새로 시설을 짓거나 컴퓨터를 구매하지 않아도 전기/수도 처럼 사용량에 따른 대여비를 지불함으로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저널에서는 미래를 다음과 같이 예견한다.

Creative desturction이 계속 될 것이며, 우수한 인력, 벤처 정신, 자본, 제도와 시스템이 있는 USA는 계속 우수할 것이다.

또한 모든 사람들의 software에 관한 재능, 교육, 능력이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 기회의 양극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이다.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화하였나?

Hal Abelson - "Blown to Bits - your life, liberty, and happiness after the Digit Explosion"

 

과거에 사람들은 프라이버시 문제에 예민했다. 그러나 현재의 소비자는 어떤 IT 장치가 유용해지면 이 장치가 나를 감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무시하고 있다. 이는 프라이버시의 벽을 허물고 있다.

 

사람들은 효율을 위해서든, 편리성을 위해서든, 경제성을 위해서든 어떠한 이유로 프라이버시를 포기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적극적으로 개인의 사생활을 노출시켜 이를 사업화하기도 한다.

 

컴퓨터가 발전한 현재에는 우리가 어딜가든지 "digital footprint"를 남긴다. 심지어는 저장된 디지털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인생을 재구성 할 수도 있다.

 

이런 정보를 가지고 있는 "Big vrother"는 누구일까? 바로 대기업이나 정부이다. 그렇다면 현재는 "정보 민주주의"일까? 아니면 "정보 과두체제"일까? 이에 대한 고민은 계속되야 한다.

 

미래의 우리의 삶

기존의 전통적인 유무선 인터넷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데에 초점이 맞춰저있었다.

그러나 새롭게 나타난 사물인터넷은 "Internet of Things"이다.

Things란 CCTV, 자동차, 스마트워치, 혹은 기계와 센서를 융합하거나 액터와 컴퓨터를 결합하거나, 소프트웨어와 인터넷을 결합한 스마트 임베디드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요즘의 인터넷은 이러한 Thing-Things/Person 간의 연결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한 운송, 가전, 건강관리 등이 가능해졌고, 인간 사회 전 분야의 자동화를 위한 미래 정보사회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AI의 변화

Knowledge-based Approach

최초의 AI에 대한 접근은 knowledge-based approach였다.

"사람은 축적된 knowledge가 있고 이를 바탕으로 추론을 하기 때문에 intelligent하다는 것이다.

 

Neural Networks

이후에 나온 AI에 대한 접근은 "Neural Networks"이다. 이는 사람의 뇌를 모방하는 것이다.

사람의 뇌는 수많은 뉴런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뉴런을 컴퓨터를 통해 구상하고, 이 수 많은 neural model을 연결해서 AI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Deep learning도 여기에 속한다.

 

아래는 뉴런을 컴퓨터로 모델링 한 것이다.

각 Input에 weight을 곱하고 이를 더하여 결과를 만들어 내고, 이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뉴런들로 이루어진 stage를 많이 만들어내면 더 나은 결과가 만들어진다.

 

실제로 요즘은 축적된 빅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알고리즘이 만들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영상이나 언어 처리분야가 있다.

 

AI as Engineering Techniques

오늘날의 AI는 smart application을 위한 engineering techniques로 사용되기도 한다.

 

 

'Computer Science > Computer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기술과 프로세서 기술의 발전  (0) 2021.03.25
여러가지 컴퓨터  (0) 2021.03.19
Stored Program Concept  (0) 2021.03.18
Machine Instruction, ISA, and Computer  (0) 2021.03.18
Program Execution  (0) 2021.03.1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