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TO 2

Entity, DTO, DAO, VO Entity, DTO, DAO, VO Servlet, Spring 등을 사용하면 로직 구현이나 데이터 교환을 위해 Entity, DTO, DAO, VO를 사용하게 된다. 각각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Entity : 테이블 DTO : Data Transfer Object → 데이터 교환용 DAO : Data Access Object → 데이터 접근용 VO : Value Object → 데이터 교환용 (Read-only 속성의 DTO) Entity Database의 테이블에 해당하며, 주로 하나의 테이블에 하나의 entity를 정의한다. 테이블과 최대한 동일하게 클래스를 생성하고, 주로 테이블에 가지는 column들을 필드로 가진다. 주의할 점 다른 클래스를 상속받거나 구현체여서는 안되며, 데이터.. 2023. 4. 3.
MVC 패턴 (feat. Servlet/JSP) MVC Model + View + Controller의 구조로 이루어진 패턴(동작 방식)을 말한다. Model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관리/처리한다. 즉,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업무를 처리한다. DAO(Data Access Object) 등의 Java class View 사용자가 보게될 결과 화면을 담당한다. (레이아웃, 화면 처리 등) HTML, JSP Controller 사용자의 입력 처리와 흐름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받은 명령을 model이나 view로 라우팅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모델/뷰를 업데이트하는 로직을 포함한다. Servlet 동작 방식 사용자의 action들은 controller가 감지한다. Controller는 사용자의 action을 확인하고 model을 업데이트.. 2023. 4. 3.